단백질 설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요네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8-13 09:42본문
서면필라테스 여기 화면(〈그림 2〉)에 나오는 노란색 덩어리가 암세포에 있는 단백질의 일부다. 암세포가 생기면 면역세포가 공격을 해야 하는데, 이 단백질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나 암세포 아니야’라는 신호를 보내서 면역세포를 속이고 공격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여기 빨간색 부분을 막으면 더 이상 면역세포를 속이지 못하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죽일 수 있게 된다. 이 그림에서 하늘색, 분홍색으로 나오는 구조가 이 부분을 타깃으로 우리가 설계한 항체이다. 빨간 부위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딱 달라붙는 거다.
‘키트루다’라는 유명한 항암제가 있는데 그게 바로 이렇게 암을 치료하는 약이다. 다만 개발 방법이 우리가 하는 방식과는 다르다. 면역항암제를 만들었던 기존 방식은 아주 정교하게 신약을 디자인하기 어려운데, 단백질 설계 AI는 처음부터 문제가 되는 부분에 맞춤형으로 생성이 가능하다. 초기 단계에서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도 타깃에 딱 작용하는 구조를 갖도록 아주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 이전글발기부전치료제 팔팔정【a13.top】【검색:럭스비아】비아그라 구매 구입 판매처 25.08.13
- 다음글무료영화【링크공원.com】 파주 다시보기 25.08.13